증여세 계산 및 절감 방법 2019

증여세를 계산하는 방법과 절세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참고하시고 자세하고 구체적인 방안은 전문가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녕하세요. 사과상자입니다. 인생을 살아가다보면 꼭 신경써야하고 쉽지만은 않은 것이 세금문제입니다. 특히 상속과 증여관련 문제는 가족간의 갈등을 불러올 수도 있고, 미리미리 정리하지 않으면 큰 화를 당하는 대표적인 세금입니다. 


여기서 '증여'란 경제적 가치를 계산할 수 있는 유형, 무형재산을 타인에게 무상으로 이전하는 것 또는 현저히 낮은 대가를 받고 이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금전, 부동산 등 '유형자산'과 재산 가치가 있는 권리 등 '무형자산'을 무상으로 받는 수증자는 '증여세' 납세 의무를 지게되는 것입니다.  증여는 상속은 증여하는 자가 살아 생전이냐 사후이냐 따라 달라지는데, 증여하는 자가 사망하고 자손들이 상속을 받을 경우 법정 분쟁까지 가는 케이스가 많기 때문에 살아 생전 온전한 정신일 때 증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증여세 계산 방법

증여세 계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계산 산식

설명 

 증여재산가액

금전, 부동산 등 증여받은 재산의 가액

 채무 부담액

증여일 전 10년 이내 동일인으로부터 증여받은 재산가액이 1천만원이상인 경우 가산 

 비과세, 과세가액불산입액

 사회톰녕상 인정되는 치료비 등 비과세 열거항목 등차감 

 

= 증여세 과세가액

 증여공제

가족 등으로부터 증여받을 경우 일정 금액을 증여공제로 차감 

 감정평가 수수료

증여재산 평가에 소요된 감정평가 수수료 차감 

  

 = 증여세 과세표준 

  X 증여세율

최소 10% ~최대 50%까지 증여세율 적용 

 

= 증여세 산출세액

  + 세대생략 할증세액

수증자가 증여자의 자녀가 아닌 직계비속인 경우 30% 또는 40% 세액 할증 

단, 직계비속 사망으로 최근친 직계비속에게 증여하는 경우는 할증제외.

(예 : 손자가 아버지가 살아계신데 할아버지로부터 증여를 받는 경우 산출 세액에 할증이 됨) 

  - 세액공제

사전증여재산에 대한 기납부세액공제, 증여세 신고세액공제 3% (2019년 개정), 기타 세액공제 등  

 

= 신고, 납부할 세액

(증여일의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신고 및 납부 

 

 



증여세 분납

증여세 세액이 1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해서 다음의 분할납부할 세액을 납부기한 경과 후 2개월 내에 분납할 수있습니다. 

  • 납부할 세액이 2,000만원 이하 : 1,000만원 초과하는 금액만 분납 가능
  • 납부할 세액이 2,000만원 초과 : 납부할 세액의 50% 이하의 금액만 분납 가능


증여세 세율

 위 증여세 계산에서 증여세 과세 표준에 증여세율을 곱했는데요. 증여세율은 증여세 과세표준의 5단계 초과누진세율 구조입니다. 

ㅇㅇ ㅇㅇ

증여세 과세표준 

증여세 세율 

누진 공제액 

1억원 이하 

10% 

 

1억원 초과 

5억원 이하 

20% 

 1,000만원

5억원 초과

10억원 이하

30%

 6,000만원

10억원 초과

30억원 이하

40% 

 1억 6천만원

30억원 초과

50%

 4억 6천만원


ex) 증여세 과세표준이 3억 5천만원인 경우 산출세액 계산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

    < 3억 5천만원 X 20% - 1천만원 = 6천만원 >



증여공

증여공제란 증여자와 수증자가 가족관계 등 인적관계에 있을 경우 증여세 과세표준 계산 시 일정 금액 공제 해주는 제도입니다.  아래는 가족관계별 공제금액을 정리한 것입니다. 

증여자 

증여공제액 

배우자 

 6억원

 직계존속

 5천만원 (미성년 경우 2천만원)

 직계비속

 5천만원

 기타친족

 1천만원



증여세 계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증여와 상속은 일찍부터 준비해서 경제적 손해 또는 가족간의 분쟁을 미리 막는 것이 상책입니다. 돈 앞에 형제 자매 없습니다. 미리미리 체계적으로 준비를 해야 자식들간 싸움 없이 잘 지내는 것 같습니다. 계산 체계가 쉽지 않기 때문에 세무사 혹은 법무사에게 문의를 하시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